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정치학생부, 재향군인회는 베트남 영화 배급 회사와 협력하여 당 낫 민 감독의 영화 "돈 타지마(Don't Burn)" 상영을 주관했습니다. 이 영화는 순교자였던 의사 당 투이 짬의 일기를 바탕으로 한 장편 영화입니다.
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정치학생부, 재향군인회는 베트남 영화 배급 회사와 협력하여 당 낫 민 감독의 영화 "돈 타지마(Don't Burn)" 상영을 주관했습니다. 이 영화는 순교자였던 의사 당 투이 짬의 일기를 바탕으로 한 장편 영화입니다.
조국과 사랑의 부름에 따라 하노이의 한 젊은 여의사가 전장에 입대했습니다. 그녀는 일기를 쓰는 습관이 있다. 1970년 미국의 폭격으로 황폐해진 꽝응아이성 득포에서도 그녀는 매일 메모를 했습니다. 그녀의 동료들은 지원군을 보내지 않았고, 부상자들은 쌀이 떨어졌으며, 적군은 근처에서 수색을 하고 있었지만, 그녀는 여전히 매 페이지마다 자신의 마음을 쏟아냈습니다. 그녀는 세상 사람들이 읽도록 글을 쓸 생각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녀의 깊은 신앙은 인간미가 깃든 단순하고 소박한 방식으로 쓰여졌으며, 그녀 자신처럼 아름답고 순수합니다. "그 책을 태우지 마세요. 그 안에 불이 있어요." 공화국 군인의 은유적 말이 일기가 존재할 수 있는 첫 번째 기회를 만들어냈습니다. 불타지 마라는 말은 당 투이 짬의 유명한 일기와 그 일기의 운명을 둘러싼 실화를 바탕으로 인민 예술가 당 낫 민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한 장편 영화의 이름으로 줄여졌습니다.
이 영화는 희생과 손실이 매시간, 매분 발생하는 격렬한 전쟁을 사실적으로 재현합니다. 죽음이 밥 먹는 것보다 쉬운 곳, 돈과 수단이 부족해 전우와 동포들을 구할 수 없어 상심하고 괴로워하는 젊은 의사, 항상 어머니를 애정 어린 목소리로 부르며 뒤에서 지켜봐 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 일기는 양심적인 미국 군인인 프레드의 손에 들어간다. 그 자신도 민간인을 상대로 한 잔혹한 전쟁으로 인해 매일 고통스럽고 가슴 아픈 죽음을 맞고 있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일기는 많은 경험을 한 참전용사의 마음에 불을 지르고, 그의 가족들의 생각을 바꾸게 했다. 베트남과 미국은 수천 마일이나 떨어져 있고 정보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기장의 주인이 사랑하는 가족을 찾기로 결심했습니다... 귀중한 유품을 보관한 지 35년 만에, 한 참전 용사는 "투이 트람은 저의 은인입니다. 그녀는 저에게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 주었습니다..."라고 외쳤습니다.
작가:탄하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