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1일, 최문자 박사(학장)가 이끄는 협성대학교(한국) 대표단이 인문사회과학대학을 방문하여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2008년 7월 1일, 최문자 박사(학장)가 이끄는 협성대학교(한국) 대표단이 인문사회과학대학을 방문하여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조교수 박사 Vu Duc Nghieu(학교 부교장)와 Mai Ngoc Chu 교수(동양학과 학과장)가 대표단을 접견했습니다.
회의에서 Mai Ngoc Chu 교수는 한국학 교육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했습니다.동양학부. 이곳은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는 전국의 9개 기관 중 하나이며, 한국 문화 교육을 제공하는 2개 기관 중 하나입니다. 현재, 학부에서는 한국학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학과에는 현재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강사가 6명 있습니다. 교수님은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와 호주에서 한국학 분야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 중 하나라고 단언하셨습니다. 한국학을 전공한 베트남 학생들은 쉽게 일자리를 구하고, 배운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한국 관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특히 동양학부와 사회인문대학은 많은 한국 대학 및 기관과 점점 더 광범위한 협력 관계를 맺어 왔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두 권의 고급 한국어 교과서인 '한국사'와 '현대 한국사회'의 편찬 및 번역에 참여했습니다. 워크숍 구현 "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한국과 한국학"는 2008년 11월 베트남에서 사회과학 및 인문대학이 주최하는 행사로 개최됩니다.
[img class="caption" src="images/stories/2008/7/02/p7011964.jpg" border="0" alt="문자 최 박사(협성대학교 총장)" title="문자 최 박사(협성대학교 총장)" align="left" width="186"/>학교를 대표하여, 조교수 박사. 부득응히에우는 최근 몇 년간 한국의 경제적, 문화적, 교육적 성과에 대한 찬사를 표했다. 베트남과 한국은 문화와 역사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양측 간 협력 활동을 실시하는 데는 많은 이점이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또한 부교수는 한국학 분야와 사회과학, 인문학 분야에서 양측 간 협력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최문자 박사님은 본교와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특히 최문자 씨는 인문사회과학대학에서 한국학과 기독교를 연구하는 것의 가능성과 전망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 회의에서 최문자 박사는 협성대학교를 대표하여 학교에서 학업 성적이 좋은 한국학 전공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앞으로 양측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협성대학교(한국)는 1977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신학, 사회과학, 경영학, 공학, 예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작가:탄하
최신 뉴스
이전 뉴스